주역 102

주역(周易) 64 괘 23번째 산지박(山地剝) - 주역 원문 공부

오늘은 주역64괘중 23번째로 산지박(山地剝) 괘의 원문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박(剝) 불리 유유왕(不利有攸往). 박은 벗겨지고 떨어지니 갈 곳이 있는 것이 이롭지 않다. 단왈(彖曰) 박(剝) 박야(剝也) 유변강야(柔變剛也) 불리유유왕(不利有攸往) 소인장야( 小人長也) 순이지지(順而止之) 관상야( 觀象也) 군자상소식영허( 君子尙消息盈虛) 천행야(天行也). 단에 말하기를 박은 벗겨지고 떨어지는 것이니 유柔가 강剛을 변화 시킨다. 갈 곳이 있으면 이롭지 않음은 소인의 세력이 자라나기 때문이다. 순종하여 그칠 때 그침은 상象을 관찰하기 때문이다. 군자는 사그라지고 늘어나며 차고 비는 것을 숭상하니 하늘의 운행이기 때문이다. 상왈(象曰) 산부어지박(山附於地 剝) 상이후하안택(上以厚下安宅). 상에 말하기를..

주역(周易) 64 괘 22 번째 산화비(山火賁) - 주역 원문 공부

오늘은 상괘가 산을 상징하는 간산(艮山), 하괘가 불을 상징하는 리화(離火)로 구성된 주역 64괘중 22번째 괘인 산화비(山火賁)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비(賁) 형(亨) 소리 유유왕(小利有攸往). 비는 꾸며 형통하니 갈곳이 있으면 조금 이롭다. 단왈(彖曰) 비( 賁亨) 유래 이문장(柔來而文剛) 고형( 故亨) 분강상이문유(分剛上而文柔) 고소리유유왕(故小利有攸往).천문야(天文也) 문명이상(文明以止) 인문야(人文也) 관호천문(觀乎天文) 이찰시변(以察時變) 관호인문(觀乎人文) 이화성천하( 以化成天下). 단에 말하기를 비괘가 형통함은 유(柔)가 와서 강(剛)을 장식하므로 형통하는 것이다. 강이 나뉘어 올라가 유를 장식하므로 갈 곳이 있으면 조금 형통하니 하늘의 문체이다. 문명하며 그쳐야 할 때 알맞게 그치..

[주역 책 추천 ] 손에 잡히는 주역 인해- 저자 및 출판사 , 소개글

들어가며 주역을 공부하는 방법은 뭐니 뭐니 해도 원문인 경문과 주문왕이 적었다고 전해지는단사(彖辭) 와 공자님이 지으셨다고 하시는 단전(彖傳)과 상전(象傳)을 함께 계속 읽어 나가는 수밖에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이 책 「손에 잡히는 주역 인해」를 구입하게 되었고 지금 이곳 블로그에 계속 이 책의 원문해석을 토대로 나름대로 매일 한 괘 한 괘씩 정리하고 있는 것입니다. 저자 및 출판사 이 책은 '대유학당'이라고 하는 국내에서는 아마 주역에 관한한 가장 오래된 역사와 전통이 있는 학당에서 공부하신 '윤상철' 선생님께서 여러 서적을 참고하셔서 만드신 것으로 적고 있습니다. 그래서 가장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그 음과 해석을 달았다고 평가를 받으시는 것 같습니다. 소개글 이 책은 제목에 적혀 있는 대로 사..

주역(周易) 64 괘 21 번째 화뢰서합(火雷噬嗑) - 주역 원문 공부

오늘은 주역 64괘중 21번째인 화뢰서합(火雷噬嗑)의 원문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서합(噬嗑) 형(亨) 이용옥(利用獄). 서합은 형통하니 형벌과 옥사(獄事)를 쓰는데 이로우니라 단왈(彖曰) 이중유물(頤中有物) 왈서합(曰噬嗑) 서합(噬嗑) 이형(而亨) 강유분(剛柔分) 동이명(動而明) 뇌전(雷電) 합이장(合而章). 유득중이상행(柔得中而上行) 수부당위(雖不當位)이용옥야(利用獄也). 단에 말하기를 턱 가운데 물건이 있기 때문에 서합(씹어 합한다)이라 한 것이니, 씹어 합하여 형통하니라. 강(양)과 유(음)가 나뉘고, 움직이고 밝으며, 우레와 번개가 합쳐져 빛나고, 유가 중을 얻어서 위로 가니, 비록 위는 마땅하지 않으나 형벌과 옥사를 쓰는데 이로우니라. 상왈(象曰) 뇌전(雷電) 서합(噬嗑) 선왕(先王)이(..

주역(周易) 64 괘 20 번째 풍지관(風地觀) - 주역 원문 공부

오늘은 주역 64괘중 20번째 풍지관(風地觀)괘의 주역 원문을 정리 하겠습니다. 관(觀) 관이불천(盥而不薦) 유부옹약(有孚顒若). 관괘는 세수하고 제사를 올리지 않았을 때 같이 하면, 믿음이 있어서 우러러 볼 것이다. 단왈(彖曰), 대관재상(大觀在上) 손이손(順而巽) 중정(中正)이관천하(以觀天下). 관관이불천유부옹약(觀盥而不薦有孚顒若) 불관이화야(下觀而化也).관천지신도이사시(觀天之神道而四時)불특(不忒), 성인(聖人) 이신도설교이 천하(以神道設敎而天下) 복의(服矣). 단에 말하기를 크게 보여줌으로 위에 있어서, 순하고 송손하며 중정으로써 천하에 보여줌이니, 관괘는 세수하고 제사를 올리지 않았을 때 같이 하면, 믿음이 있어서 우러러봄'은 아랫 사람이 보고 교화되는 것이다. 하늘의 신묘한 도를 보면 사시가 어..

주역(周易) 64 괘 19번째 지택림 (地澤臨)- 주역 원문 공부

오늘은 주역64괘중 19번째 지택림(地澤臨)에 대해서 정리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림(臨) 원형(元亨) 이정(利貞) 지우팔월유흉(至于八月有凶). 임은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팔월에 이르러서는 흉함이 있으리라. 단왈(彖曰) 림(臨) 강침이장( 剛浸而長) 열이순(說而順) 강중이응(剛中而應) 대형이정(大亨以正) 천지도야(天之道也)지우팔월 유흉(至于八月有凶) 소불구야(消不久也). 단에 말하기를 임은 강(양)이 점차라 자라며, 기뻐하고, 순하며, 강이 가운데 있고 응원이 있어서, 크게 형통하고 바름으로써 하니 하늘의 도다. '팔월에 이르러서 흉함이 있다'함은 사라져서 오래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왈(象曰) 택상유지(澤上有地) 림(臨) 군자(君子) 이(以) 교사무궁(敎思无窮) 용보민(容保民) 무강(无..

주역(周易) 64 괘 18 번째 산풍고(山風蠱) - 주역 원문 공부

오늘은 주역 64괘중 18번째 산풍고 (山風蠱)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고(蠱) 원형(元亨) 이섭대천(利涉大川) 선갑3일(先甲三日) 후갑3일(後甲三日). 고괘는 크게 착하고 형통하니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우니, 갑으로 먼저 사흘하며 갑으로 뒤에 사흘하니라. 단왈(彖曰) 고(蠱),강상이유하(剛上而柔下) 손이지고(巽而止蠱). 고(蠱),원형이천하지치야(元亨而天下治也).이섭대천(利涉大川) 왕유사야(往有事也). 선갑3일(先甲三日)후갑3일(後甲三日) 종즉유시(終則有始) 천행야(天行也). 단에 말하기를 고괘는 강(양)이 올라가고 유(음)이 내려오며, 공손해서 그쳐있는것이 고다. 고괘가 크게 착하고 형통해서 천하가 다스려짐이요, '큰 내를 건넘이 이롭다'는 것은 나가서 일이 있는 것이요, '선갑삼일후감삼일'은 마치..

[주역과 영화] 해피 해피 브래드

들어가며 한동안 힐링 영화 붐에 의해 많이 보게 된 일본영화. 잔잔하지만 가슴이 따뜻해 지는 그런 영화 오늘은 해피 해피 브레드를 가지고 주역점을 한번 쳐 보았습니다. 물론 영화의 내용도 내용이지만 주역점이야기 그리고 커피와 펜션 이야기까지 한 번에 다루어 볼까 합니다. 먼저 영화의 주된 줄거리 입니다. 도회지에서의 인간관계에 상처를 받은 두 주인공이 홋카이도 지방의 한편에 작은 펜션과 베이커리 카페 '마니'를 운영하면서 겪는 다소 소박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영화입니다. 음 그러니까, 빵을 굽는 '미즈시마'와 커피를 내리는 '리에'가 홋카이도의 츠키우라에 '카페 마니'를 열고 살아가면서 이런저런 사람들과의 인연을 만들게 되는 이야기로 첫 번째 이야기로는 도쿄의 삶에 방황하는 아가씨와 시골 전차 역의 선..

생활속의 주역 2023.02.26

주역(周易) 64 괘 17 번째 택뢰수(澤雷隨) - 주역 원문 공부

오늘은 주역64괘중 17번째 택뢰수(澤雷隨)의 원문을 정리 해 보겠습니다. 수(隨) 원형(元亨) 이정(利貞) 무구(无咎). 수는 크게 형통하니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허물이 없으리라. 단왈(彖曰) 수(隨) 강래이하유 (剛來而下柔) 동이열(動而說) 수(隨) 대형(大亨) 정 무구(貞无咎)이천하(而天下) 수시(隨時) 수시지의( 隨時之義) 대의재(大矣哉)! 단에 말하기를 수괘는 강이 와서 유보다 아래하고, 움직임에 기뻐함이 수니,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해서 허물이 없어서 천하가 때를 따르나니, 수의 때와 의가 크도다.! 상왈(象曰) 택중유뢰(澤中有雷) 수(隨) 군자이(君子以) 향회입연식(嚮晦入宴息). 상에 말하기를 못 속에 우레가 있는 것이 수괘니, 군자가 본받아서 어두움을 향해서 들어가 잔치하고 쉬느니라. ..

주역(周易) 64 괘 15 번째 지산겸(地山謙) - 주역 원문 공부

오늘은 주역64괘 중 15번째 괘인 지산겸(地山謙)괘의 원문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주역 공부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겸(謙) 형(亨) 군자유종(君子有終) 겸은 형통하니 군자가 마침이 있느니라. 단왈(彖曰) 겸(謙) 형(亨) 천도 하제이광명 (天道下濟而光明) 지도 비이상행 (地道卑而上行) 천도 휴영이익겸( 天道虧盈而益謙)지도 변영이유겸(地道變盈而流謙) 귀신(鬼神) 해영이복겸(害盈而福謙)인도(人道) 오영이호겸(惡盈而好謙) 겸존이광(謙尊而光) 귀이불가유(卑而不可踰) 군자지종야(君子之終也). 단에 말하기를 '겸은 형통하다'는 것은 하늘의 도(기운)가 내려가 사귀어서 광명하고 땅의 도가 낮춤으로써 올라가 행함이라. 하늘의 도는 가득찬것을 이지러지게 하며 겸손한 데는 더해주고, 땅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