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102

주역(周易) 64 괘 29번째 중수감(重水坎) - 주역 원문 공부

주역(周易) 64 괘 29번째 중수감(重水坎)의 개요 주역의 29번째 중수감(重水坎) 괘는 "감(坎)" 또는 "심연의 물"이라고 불립니다. 중국 전통 철학에서 물은 변화와 적응력을 상징하는 동시에 위험과 예측 불가능성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이 중수감(重水坎) 괘는 물의 힘과 잠재력뿐만 아니라 위험과 불확실성을 반영합니다. 핵심적으로 '중수감'은 깊고 위험한 물을 헤쳐나가야 하는 위험 또는 위기 상황을 나타냅니다. 괘는 이러한 상황에서는 용기와 결단력, 변화하는 상황에 적응하려는 의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장애물을 극복하고 반대편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인내심과 신중한 태도, 그리고 적극적이고 전략적인 자세가 필요합니다. 대인 관계 측면에서 '중수감'은 감정이 격해지고 의사소통이 어려운 갈등이나 긴..

주역(周易) 64 괘 28번째 택풍대과(澤風大過) - 주역 원문 공부

주역(周易) 64 괘 28번째 택풍대과(澤風大過)의 개요 주역의 28번째 괘는 "대과(大過)" 또는 "대초월(大超越)"이라고 불립니다. 이는 바람(부드러운 침투를 나타내는)과 호수(즐거운 만족을 나타내는) 상하괘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택풍대과괘와 관련된 이미지는 둑을 넘어 주변 지역을 침수시키는 홍수의 이미지입니다. 이는 에너지나 자원이 과잉되어 기존 질서가 붕괴되는 상황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점술 측면에서 28번째 택풍대과괘는 풍요와 번영의 시기를 나타낼 수 있지만 주의와 자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는 자원이 현재의 필요를 초과할 수 있으며, 풍요로움에 너무 안주하거나 부주의해질 위험이 있음을 암시합니다. 28번째 택풍대과괘는 자원을 현명하게 사용하고..

주역(周易) 64 괘 27번째 산뢰이(山雷頤) - 주역 원문 공부

주역(周易) 64 괘 27번째 산뢰이(山雷頤) 괘의 개요 산뢰이(山雷頤)괘는 상하괘의 모양이 서로 마주 보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가운데가 비어 있어서 입을 형상화한 모습의 괘라고 합니다. 가운데 보이는 음효들이 이빨의 모습을 상징하고 아래 위에 위치한 양효가 턱을 상징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무엇인가를 먹는것, 먹고 사는것을 고민하며 만들어진 괘라고 합니다. 이(頤) 괘와 관련된 이미지는 주변 사람들에게 영양분을 제공하는 나무의 이미지입니다. 산뢰이는 권력이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있고 주변 사람들을 부양하고 양육할 책임이 있는 사람을 은유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점술적인 측면에서 주역 64괘중 27번째 산뢰이(山雷頤) 괘는 물질적, 정신적 측면에서 풍요와 번영의 시기를 나타..

주역(周易) 8괘(八卦)의 성질

주역의 8가지 괘는 우주와 인간 경험의 다양한 측면을 나타내는 기본 상징입니다. 각 괘(卦)는 실선 또는 끊어진 세 개의 선이 서로 겹쳐져 있으며, 각 선은 양(힘, 남성성, 행동성을 나타내는 실선) 또는 음(수용성, 여성성, 고요함을 나타내는 끊어진 선)을 나타냅니다. 주역 8괘는 다음과 같습니다: 건천(하늘): 이 괘는 힘과 힘을 나타내는 세 개의 실선이 서로 겹쳐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주의 창조적인 힘을 상징하며 남성성, 리더십, 힘의 자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곤지(땅): 이 괘는 수용성과 고요함을 나타내는 세 개의 파선이 서로 겹쳐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주의 양육하는 힘을 상징하며 여성성, 양육, 인내의 자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뇌진(천둥): 이 괘는 하단에 실선이 있고 그 위에..

[영화 주역점] 영화 커피가 식기전에, 소개, 줄거리, 주역점, 주역점단.

[영화 주역점] 영화 커피가 식기 전에 소개 오늘 주역점을 쳐볼 이야기는 커피를 매개로 과거로 돌아갈 수 있다는 재밌는 설정으로 우리에게 감동을 안겨 주었던 일본영화 입니다. 이 영화를 보기 전에 대충 내용은 알고 있는 상태로 주역점을 먼저 쳐 보았습니다. 산지박괘가 나왔습니다. 무엇인가 부서진다는 괘 그런데 이것이 타임슬립을 이야기하는 영화와 무슨 관계가 있는 것인지 이해가 되지 않아서 내가 점을 잘못 뽑은 것인가 하는 의심까지 들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영화를 몇 번이고 보고서야 아... 하는 생각이 들면서 괘를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주역점이 과연 무슨 이야기에 집중한 것인지 한 번 들어 보시죠. [영화 주역점] 영화 커피가 식기전에 줄거리 이탈리아 철도 행진곡의 제목인 '푸니쿨리 푸니쿨라'를 이름으로..

주역(周易) 64 괘 26번째 산천대축(山天大畜) - 주역 원문 공부

오늘은 주역 64괘중 26번째인 산천 대축(山天大畜)괘를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축(大畜) 이정(利貞) 불가식(不家食) 길(吉) 이섭대천(利涉大川). 대축은 바르고 굳게 함이 이로우니, 집에서 먹지 않으면 길하니,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우니라. 단왈(彖曰) 대축(大畜) 강건독실(剛健篤實) 휘광(輝光) 일신기덕(日新其德) 강상이상현(剛上而尙賢) 능지건(能止健) 대정야(大正也) 불가식길(不家食吉) 양현야(養賢也) 이섭대천(利涉大川) 응호천야(應乎天也).

주역(周易) 64 괘 25번째 천뢰무망(天雷无妄) - 주역 원문 공부

천뢰무망(天雷无妄) 오늘은 주역 64괘 중 25번째 괘로 상괘가 하늘을 뜻하고 하괘가 우뢰를 뜻하는 천뢰무망(天雷无妄) 괘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무망은 흔히 승부점 등에서는 막상막하의 강팀들의 경기를 뜻하기도 하고 일신상으로 득괘 했을 경우에는 재앙 같은 일을 겪을 수 있는 조금은 기분이 좋지 않은 망령스러운 괘이긴 합니다. 무망(无妄) 원형(元亨) 리정(利貞) 기비정유생(其匪正有眚) 불리유유왕(不利有攸往). 무망은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바르지 않으면 재앙이 있기 때문에 나아가는 것이 이롭지 않으니라 단왈(彖曰) 무망(无妄) 강자외래이위주어내(剛自外來而爲主於內), 동이건(動而健) 강중이응(剛中而應) 대형이정(大亨以正) 천지명야( 天之命也) 기비정유생(其匪正有眚) 불리유유왕..

[주역과 영화] 간츠 오, 개요, 줄거리, 주역점, 점단.

주역점과 영화 개요 오늘은 일본 애니 메이션의 역작(力作)이라고 불리는 '간츠 :오'에 대해서 주역점은 과연 이 애니메이션 영화를 통해 무엇을 이야기하는지 한번 들어 보시죠. 간츠 오의 줄거리 '간츠:오'는 기존 '간츠' 시리즈의 주인공이었던 '케이'의 죽음 이후 '카토우'의 활약이 이루어 지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지하철에서 묻지 마 살인사건이 발행하게 되고, 우연히 사람을 구하다 대신 죽음을 맞이하게 된 '카토우'는 '간츠'라는 검은 공에게 소환되어 레이카(아이돌), 스즈키(중년), 중학생 니시군과 함께 새로운 미션을 받아서 오사카에 오게 됩니다. 간츠의 룰은 변함없이 보스 괴물을 죽이고 미션을 완수하는 것, 처음 이게임을 접하게 된 '카토우'는 혼란스러운 상황을 서서히 적응해 가면서 ..

주역(周易) 64 괘 24번째 지뢰복(地雷復) - 주역 원문 공부

오늘은 주역 64괘중 24번째 괘인 지뢰복(地雷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복(復) 형(亨). 출입무질(出入无疾) 명래무구(朋來无咎) 반복기도(反復其道) 칠일래복(七日來復) 이유유왕(利有攸往). 복은 형통하니, 나고 들음에 병이 없어서 벗이 와야 허물이 없으리라, 그 도를 반복해서 칠일에 와서 회복하니, 나아가는 것이 이로우니라. 단왈(彖曰) 복형(復亨) 강반(剛反)동이이순행(動而以順行) 시이(是以)출입무질(出入无疾) 명래무구(朋來无咎)반복기도(反復其道) 칠일래복(七日來復)천향야(天行也) 이유유왕(利有攸往) 강장야(剛長也) 복(復) 기견천지지심호(其見天地之心乎)? 단에 말하기를 복이 형통함은 강이 돌아옴이니, 움직여 순하게 나아가는 것이다. 이렇기 때문에 '나고 들음에 병이 없어서 벗이 와야 허물이..

[주역책 추천] 주역점 비결, 소개, 저자소개, 주요내용, 마무리

「주역점 비결」 소개 이 책은 대유학당에서 오랜 시간 강의와 편찬 사업을 하신 윤상철 선생님이 지으신 주역점을 쉽게 볼 수 있는 편한 참고서 같은 책입니다. 「주역점 비결」의 저자 소개 이 책은 국내 주역 공부의 일번지로 유명한 대유학당에서 발간된 책으로, 저자이신 건원 윤상철 선생님은 제가 항상 들고 다니면서 주역의 의미를 새기고 있는 책 「손에 잡히는 주역인해」의 저자이시기도 합니다. 오랜시간 대유학당에서 스승이신 고(故) 대산 김석진 선생님 밑에서 사서(四書) 및 역경(易經)을 수학하시면서 「하락리수」, 「오행대의」, 「천문류초」, 「매화역수」, 「황극경세」, 「초씨역림」등을 번역하시고, 직접 쓴 저서로 이 책 「주역점 비결」을 비롯하여 「후천을 연 대한민국, 「세종대왕이 만난 우리 별자리」,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