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102

주역(周易) 64 괘 14 번째 화천대유(火天大有)

대유(大有) 원형 (元亨). 대유는 크게 착하고 형통하니라. 단왈(彖曰) 대유(大有) 유득존위(柔得尊位) 대중이상하(大中 而上下) 응지(應之) 왈대유(曰大有) 기덕(其德) 강건이문명(剛健而文明) 응호천이시행(應乎天而時行) 시이원형(是以元亨). 단에 말하길 대유는 유(陰)가 높은 자리를 얻고 크게 가운데 하며 위와 아래가 응해서 대유라고 했으니, 덕이 강건하고 문명하며 하늘에 응해서 때로 행한다. 이 때문에 '크게 착하고 형통'하니라. 상왈(象曰) 화재천상(火在天上) 대유(大有) 군자(君子) 이(以) 알악양선(遏惡揚善) 순천휴명(順天休命). 상에 말하기를 불이 하늘 위에 있는 것이 대유괘니, 군자가 본받아서 악한 것을 막고 착한 것을 드날려서 하늘의 아름다운 명을 따르느니라. 초구(初九) 무교해(无交害) ..

주역(周易) 64 괘 13 번째 천화동인(天火同人)

동인우야(同人于野) 형(亨) 이섭대천(利涉大川) 이군자 (利君子) 길(貞). 광활한 들에서 사람들과 같이 하면 형통하리니, 큰 내를 건넘이 이로우며 군자의 바른 도로 함이 이로우니라. 단왈(彖曰) 동인(同人) 유(柔) 득위(得位) 득중이응호건(得中而應乎乾) 왈동인( 曰同人) 동인왈( 同人曰) 동인우야형이섭대천(同人于野亨 利涉大川) 건행야( 乾行也) 문명이건( 文明以健) 중정이응(中正而應) 군자정야(君子正也) 유군자 (唯君子)위능통천하지지(爲能通天下之志). 단에 말하기를 동인은 유(柔)가 위(位)를 얻으며, 중(中)을 얻어서 건(乾)에 응했기 때문에 동인이라 한 것이다. '동인우야형이섭대천'은 건의 도를 행함이고, 문명해서 굳세고, 중정해서 응원함이 군자의 바른 것이니, 오직 군자라야 천하의 뜻을 통할 수..

주역(周易) 64 괘 12번째 천지비 (天地否)

오늘은 주역 64괘중 12번째 괘인 천지비 (天地否)를 정리 해 보겠습니다. 비지비인(否之匪人) 불리 군자정(不利 君子貞) 대왕소래 (大往小來) 비는 사람의 도가 아니니, 군자의 바름이 이롭지 않으니, 큰것이 가고 작은 것이 오느니라. 단왈(彖曰) 비지비인 불리군자정 대왕소래(否之匪人不利 君子貞大往小來.) 즉시천지불교이만물 (則是天地不交而萬物) 불통야(不通也)상하불교이천하 무방야(上下不交而天下无邦也)내음이외양( 內陰而外陽)내유이외강(內柔而外剛)내소인이외군자(內小人而外君子)소인도장(小人道長) 군자도소야(君子道消也)span> 단에 말하기를 괘사의 '비지비인 불리군자정 대왕소래'는 곧 하늘과 땅이 사귀지 않아 만물이 통하지 않으며, 위와 아래가 사귀지 않아 천하에 나라가 없는 것이다. 안은 음이고 밖은 양이 ..

주역(周易) 64 괘 11 번째 지천태 (地天泰)

태(泰) 소왕(小往) 대래(大來) 길(吉) 형(亨). 태는 작은 것이 가고 큰것이 오니, 길해서 형통하니라. 단왈(彖曰) 태( 泰) 소왕대래길형 (小往大來, 吉, 亨)즉지천지(則是天地) 교이만물(交而萬物) 통야(通也)상하교이기지(上下交而其志) 동야(同也).내양이외음 (內陽而外陰)내건이외순(內健而外順) 내군자이외소인(內君子而外小人) 군자도장(君子道長) 소인도( 小人道) 소야(消也) 단에 말하길 "태가 작은 것이 가고 큰 것이 와서 길하고 형통하다'함은 하늘과 땅이 사위어 만물이 통하며, 위와 아래가 사귀어 그 뜻이 같음이라. 안은 양이고 밖은 음이며, 안은 굳세고 바깥은 순하며, 군자는 안에 있고 소인은 밖에 있으니, 군자의 도가 자라나고 소인의 도는 사라지는 것이다. 상왈(象曰) 천지교(天地交) 태(泰)..

주역(周易) 64 괘 9 번째 풍천소축(風天小畜)

오늘은 주역 64괘중 9번째인 풍천소축(風天小畜)의 원문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소축(小畜) 형(亨) 밀운불우(密雲不雨) 자아서교(自我西郊) 소축은 형통하니 빽빽이 구름끼고 비가 오지 않는 것은, 내가 서쪽 들로 부터 하기 때문이다. 단왈(彖曰) 소축(小畜) 유(柔) 득위이상하(得位而上下) 응지(應之) 왈소축(曰小畜)이라. 건이손(建而巽) 강중이지행(剛中而志行)내형(乃亨) 밀운불우(密雲不雨) 상왕야(尙往也) 자아서교(自我西郊) 시미행야(施未行也) 단에 말하기를 소축은 유가 위(位)를 얻고 위와 아래가 응행기 때문에 소축이라고 한 것이다. 굳세고 공손하며 강한 것이 중도로 하고 뜻이 행해져서 형통하니라. '빽빽이 구림끼고 비가 오지 않음'은 아직도 올라가고 있음이요, '내가 서쪽들로부터 함'은 베풀음이 행해..

주역 64 괘 8번째 수지비(水地比)

오늘은 주역 64 괘(卦) 중 8번째괘(卦)인 수지비(水地比)의 원문을 정리 해 보겠습니다. 비(比) 길(吉) 원서(原筮) 원영정(元永貞) 무구(无咎) 불녕(不寧) 방래(方來) 후(後)부(夫)흉(凶) 비는 길하니 살펴서 결정하되, 원하고 영하고 정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편안치 못하여야 바야흐로 오는 것이니 뒤에 오면 대장부라도 흉하리라. 단왈(彖曰) 비(比)길야(吉也)비(比)보야(輔也)하 순종야(下順從也) 원서원영정무구(原筮元永貞无咎) 이강중야(以剛中也) 불녕방래(不寧方來) 상하(上下)응야(應也) 후부흉(後夫凶) 기도(其道)궁야(窮也) 단에 말하기를 비는 길한 것이며, 비는 돕는 것이니 아랫사람이 순히 따르는 것이다. '살펴서 결정하되 원하고 영하고 정하면 허물이 없음'은 강으로써 중도로 했기 때문이고,..

주역 64 괘(卦) 중 7번째 괘(卦) 지수사(地水師)

오늘은 주역 64 괘(卦) 중 7번째 괘(卦) 지수사(地水師)의 원문을 정리 해 보겠습니다. 사(師)는 정(貞) 장인(丈人) 길(吉) 무구(无咎) 사는 바르게 함이니 장인이라야 길하고 허물이 없으리라. 단왈(彖曰) 사(師) 중야(衆也) 정(貞) 정야(正也) 능이중정(能以衆正) 가이왕의(可以王矣) 강중이응(剛中而應)하고 행험이순(行險而順)하니 이차독천하이민(以此毒天下而民) 종지(從之) 길(吉) 우하구의(又何咎矣) 단에 말하기를 '사'는 무리요 '정'은 바름이니. 무리를(무리로써 바르게 할 수 있으먄, 이로써 왕노릇 할 수 있으리라. 강건하면서도 중도로 하고 응원하는 이 있으며, 험함을 행하되 순리로써 한다. 이 때문에 천하를 고통스럽게 해도 백성이 쫓아 오니 길하고 또 무슨 허물이리오? 상왈(象曰) 지중유..

주역 64 괘(卦) 중 6번째 괘(卦)천수송(天水訟)

오늘은 주역 64 괘(卦) 중 6번째 괘(卦) 천수송(天水訟)의 원문을 정리 해 보았습니다. 송(訟) 유부(有孚) 질척(窒惕) 중(中)은 길(吉)코 종(終)은 흉(凶)하니 이견대인(利見大人) 불리섭대천(不利涉大川)하니라 송은 믿음을 두나 막혀서 두려우니, 중도로 함음 길하고 끝까지 함은 흉하니, 대인을 봄이 이롭고 큰 내를 건넘이 이롭지 아니하니라. 단왈(彖曰) 송(訟)은 상강하험(上剛下險) 험이건(險而健)이 송(訟)이라 송유부질척중길 (訟有孚窒惕中吉)은 강래이득중야(剛來而得中也)요 종흉(終凶) 송불가성야(訟不可成也)요 이견대인(利見大人) 상중정야(尙中正也) 불리섭대천(不利涉大川)은 입우연야(入于淵也) 단에 말하길 송은 위는 강하고 아래는 험해서 , 험하면서 굳셈이 송이다. '송유부질척중길'은 강이와서 ..

주역(周易) 64 괘(卦) 중 4번째 괘(卦) 산수몽(山水蒙)

오늘은 주역(周易) 64 괘(卦) 중 4 번째 괘(卦) 산수몽(山水蒙)의 원문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몽(蒙) 형(亨) 비아(匪我) 구동몽(求童蒙) 동몽(童蒙) 구아(求我) 초서(初筮) 곡(告) 재삼(再三) 독(瀆) 독즉불고(瀆則不告) 이정(利貞) 몽은 형통하다. 내가 어리고 몽매한 이를 찾는 것이 아니라 어리고 몽매한 이가 나를 찾아옴이니, 처음 점치거든 알려주고 두 번 세 번 하면 더럽히는 것이다. 더럽히면 알려주지 말아야하니,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단왈(彖曰) 몽(蒙)산하유험(山下有險) 험이지(險而止) 몽(蒙) 몽형(蒙亨) 이형행(以亨行)이니 시중야(時中也) 비아구동몽(匪我 求童蒙) 동몽구아(童蒙求我)는 지응야(志應也) 초서곡(初筮告) 이강중야(以剛中也) 재삼독독즉불고(再三瀆瀆則不告) 독몽야(瀆蒙..

주역(周易) 64 괘(卦) 중 3 번째 괘(卦) 수뢰둔(水雷屯)

오늘은 주역(周易) 64 괘(卦) 중 3 번째 괘(卦) 수뢰둔(水雷屯)의 원문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둔(屯) 원형(元亨) 이정(利貞) 물용 유유왕(勿用有攸往) 이건후(利建侯) 둔은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스스로 나아가지 말고 제후를 세움이 이로우니라. 단왈(彖曰) 둔 (屯) 강유(剛柔) 시교이난생(始交而難生) 동호험중(動乎險中) 대형정(大亨貞) 뇌우지동(雷雨之動) 만영(滿盈) 천조초매(天造草昧 ) 의건후(宜建候) 이불녕(而不寧) 단에 말하길 둔은 강과 유가 처음 사위어 어렵게 나오며, 험한데서 움직이니,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하라는 것은 천둥치고 비가 내리는 움직임이 가득하기 때문이다. 하늘의 운이 시작되어 어두울 때는 마땅히 제후를 세워야 하고 , 편안히 하지 않느니라. 상왈(象曰) 운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