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역64괘중 19번째 지택림(地澤臨)에 대해서 정리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림(臨) 원형(元亨) 이정(利貞) 지우팔월유흉(至于八月有凶).
임은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팔월에 이르러서는 흉함이 있으리라.
단왈(彖曰) 림(臨) 강침이장( 剛浸而長) 열이순(說而順) 강중이응(剛中而應) 대형이정(大亨以正) 천지도야(天之道也)지우팔월 유흉(至于八月有凶) 소불구야(消不久也).
단에 말하기를 임은 강(양)이 점차라 자라며, 기뻐하고, 순하며, 강이 가운데 있고 응원이 있어서, 크게 형통하고 바름으로써 하니 하늘의 도다. '팔월에 이르러서 흉함이 있다'함은 사라져서 오래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왈(象曰) 택상유지(澤上有地) 림(臨) 군자(君子) 이(以) 교사무궁(敎思无窮) 용보민(容保民) 무강(无疆).
상에 말하기를 못 위에 땅이 있는 것이 임괘니, 군자가 본받아서 가르치려는 생각이 끝이 없으며, 백성을 포용해서 보호함이 끝이 없느니라.
초구(初九) 함림(咸臨) 정길(貞吉).
초구는 (양이 음을) 느껴임함이니 바르게 해서 길하니라.
상왈(象曰) 함림정길(咸臨貞吉) 지행정야(志行正也).
상에 말하기를 '느껴 임함이니 바르게 해서 길함'은 뜻이 바름을 행함이라.
구이(九二) 함림(咸臨) 길무불리(吉无不利).
구이는(양이 음을)느껴 임함이니, 길해서 이롭지 않음이 없으리라.
상왈(象曰) 함힘길무불리(咸臨吉无不利)미순명야(未順命也).
육삼(六三) 감림(甘臨) 무유리(无攸利) 기우지(旣憂之) 무구(无咎).
육삼은 쾌락에 젖어 달게 임함이라, 이로울 것이 없으니, 이미 근심하는지라 허물이 없으리라.
상왈(象曰) 감림(甘臨) 위부당야(位不當也) 기우지(旣憂之) 구부장야(咎不長也).
상에 말하기를 '쾌락에 젖어 달게 임함'은 지위가 마땅치 않은 것이고, 이미 근심하니 허물이 오래가지 않으리라.
육사(六四) 지림(至臨) 무구(无咎).
육사는 지극하게 임함이니,허물이 없느니라.
상왈(象曰) 지림무구(至臨无咎) 위당야(位當也).
상에 말하기를 '지극히 임해서 허물이 없음'은 지위가 마땅하기때문이다.
육오(六五) 지림(知臨) 대군지의(大君之宜) 길(吉).
육오는 지혜로 임함이니, 임금(대군)의 마땅함이니 길하니라.
상왈(象曰) 대군지의(大君之宜) 행중지위야(行中之謂也).
상에 말하기를 '임금(대군)의 마땅함'은 중도를 행함을 말한다.
상육(上六) 돈림(敦臨) 김(吉) 무구(无咎).
상육은 돈독하게 임함이니, 길해서 허물이 없느니라.
상왈(象曰) 돈림지길(敦臨之吉) 지재내야(志在內也).
상에 말하기를 '돈독히 임해서 길함'은 뜻이 안에 있는 양에게 있음이라.
출처 : 손에 잡히는 주역인해
이렇게 주역 원문과 상전을 정리 하는 것은 점괘를 뽑아서 점단을 내릴시 면밀하게 살펴야 할것이 상(괘의 모양)과 효사(爻辭)이기에 상을 살피는 것은 바야 흐로 어느정도 경지에 오른 분들이 하시는 것이나, 간단하게 효사의 의미를 살피는 것은 누구라도 싶게 할 수 있는 것이기에 이 공간을 통해 하나 하나 정리 하는 것입니다.
주역 원문을 공부하는 것의 가장 좋은 것은 직접 괘를 뽑아서 그것이 이르는 바와 인생의 질문이 변하는 바를 관찰하는 것이니 원문 공부와 병행해서 항상 점을 쳐서 직접 공부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실증주역의 황태연 교수님과 도올선생님등의 많은 주역 학자님들의 주장이십니다. 하단에 주역점 치는 법에 관한 설명글을 링크해드리니 참고하셔서 직접 인생의 질문에 답을 주역을 통해 얻을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https://6dragon.tistory.com/57
가장 빠르게 주역 점 치는 법
주역점 치는 법 가장 빠르고 간단하게 주역점을 치는 법은 주사위가 있어야 한다. 그것도 팔괘가 쓰여 있는 팔각형 주역 주사위. 이런 주사위를 구입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기는 하지만 주사
6dragon.tistory.com
https://6dragon.tistory.com/42
서죽 (筮竹)만들기 와 주역점(周易占)치는 법
시초와 서죽(筮竹) 본격적으로 주역을 공부 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점칠 도구가 필요하다. 본래 주역은 시초를 이용하여 점을 쳤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현대에서는 시초라는 풀은 구할 수가 없
6dragon.tistory.com
'주역(周易)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64 괘 21 번째 화뢰서합(火雷噬嗑) - 주역 원문 공부 (20) | 2023.02.28 |
---|---|
주역(周易) 64 괘 20 번째 풍지관(風地觀) - 주역 원문 공부 (30) | 2023.02.27 |
주역(周易) 64 괘 18 번째 산풍고(山風蠱) - 주역 원문 공부 (24) | 2023.02.26 |
주역(周易) 64 괘 17 번째 택뢰수(澤雷隨) - 주역 원문 공부 (16) | 2023.02.25 |
주역(周易) 64 괘 16 번째 뇌지예(雷地豫) - 주역 원문 공부 (15)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