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周易)원문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괘 - 주역 공부

석과 불식 2023. 4. 10. 17:31
반응형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괘 - 주역 공부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괘 - 주역 공부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괘의 개요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괘는 "우물" 또는 "근원"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수풍정 괘는 물을 나타내는 감수와 바람을 나타내는 손풍의 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수풍정 괘는 마을에 신선한 물의 원천이 되는 깊고 맑은 우물에 대한 아이디어를 나타냅니다. 육체적, 정신적 의미 모두에서 신뢰할 수 있고 믿을 수 있는 생계와 영양 공급원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개인의 성장에 있어서도 수풍정 괘는 내면의 힘과 회복력의 깊고 신뢰할 수 있는 원천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수풍정 괘는 우리가 강한 자아를 개발하고 내면의 자원을 배양하기 위해 노력하여 삶의 폭풍우를 은혜와 자신감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제안합니다.

또한 수풍정 괘는 우리의 가치와 원칙에 대한 연결성을 유지하고, 우리의 가장 높은 열망에 부합하는 삶을 사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수풍정 괘는 내면의 힘과 영감의 원천과 연결될 때 삶의 도전과 어려움을 더 잘 헤쳐나갈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연애 및 관계에 있어서도 수풍정 괘는다른 사람들과 깊고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사람들이 함께 번창하고 성장할 수 있는 지지적이고 양육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인간관계에서 믿을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연결과 지원의 원천이 있을 때, 우리는 삶의 기복을 함께 극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풍정 괘는 관계에서 소통과 정직의 중요성을 시사합니다. 다른 사람들에게 개방적이고 투명해야 하며, 신뢰와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일과 경력에서 수풍정 괘는 신뢰할 수 있고 믿을 수 있는 수입원과 생계 수단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수풍정 괘는 확고한 가치와 원칙에 기반하고 더 큰 공익을 위해 봉사하는 커리어 또는 비즈니스를 구축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수풍정 괘는 직장에서 다른 사람을 대할 때 정직하고 투명하게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신뢰와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관계를 구축하고 공동의 목표를 향해 함께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전반적으로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괘는 육체적, 정신적 의미 모두에서 깊고 신뢰할 수 있는 생계와 영양의 원천을 키우는 것의 중요성을 나타냅니다. 이는 우리의 가치와 원칙에 대한 연결성을 유지하고, 우리의 가장 높은 열망에 부합하는 삶을 사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개인의 성장, 관계, 업무에서 헥사그램은 우리가 삶의 모든 측면에서 번창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원과 영감의 원천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시사합니다.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괘의 원문

정(井) 개읍불개정(改邑不改井) 무상유득(无喪无得) 왕래 정정(往來井井) 흘지역미굴장(汔至亦未繘井) 이기병(羸其甁) 흉(凶).

정은 읍은 고치되 우물은 고치지 못하니, 얻음도 없고 잃음도 없으며, 가는 이와 오는 이가 우물을 푸고 우물물을 마시나니, 거의 이르러 또 우물에 닿지 못함이니, 그 병을 깨면 흉하니라.

단왈(彖曰) 손호수이상수(巽乎水而上水) 정(井) 정양이불궁야(井養而不窮也)개읍불개정(改邑不改井) 내이강중야(乃以剛中也) 흘지역미귤정(汔至亦未繘井) 미유공야(未有功也)이기병(羸其甁) 시이흉야(是以凶也).

단에 말하기를 물에 들어가서 물을 올리는 것이 우물이니, 우물은 (만물을)길러서 끝이 없느니라.'읍은 고쳐도 우물은 못고친다'함은 강중함으로써 하기 때문이고, '거의 이르러 또 우물에 닿지 못함'은 공이 없는 것이며, '병을 깸'이라 이 때문에 흉한 것이다.

상왈(象曰) 목상 유수(木上有水) 정(井) 군자이노민권상(君子以勞民勸相).

상에 말하기를 나무 위에 물이 있는 것이 정괘니, 군자가 본받아서 백성을 위로하고 서로 돕게 권하느니라.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초육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초육

초육(初六) 정니불식(井泥不食) 구정무금(舊井无禽).

초육은 우물에 진흙이 있어 먹지 못함이라, 옛 우물에 새가 없도다.

상왈(象曰) 정니 불식(井泥不食) 하야(下也) 구정무금(舊井无禽) 시사야(時舍也).

상에 말하기를 '우물에 진흙이 있어 먹지 못함'은 밑에 있기 때문이고, '옛 우물에 새가 없다'함은 때가 초육을 버린 것이다.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구이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구이

구이(九二) 정곡석부(井谷射鮒) 옹폐루(甕敝漏).

구이는 우물이 골짜기 인지라 미물에게나 쏟음이고, 항아리가 깨져 새도다.

상왈(象曰) 정곡사부(井谷射鮒) 무여야(无與也).

상에 말하기를 '우물에 진흙이 있어 먹지 못함'은 밑에 있기 때문이고, 옛 우물에 새가 없다' 함은 때가 초육을 버린 것이다.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육삼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육삼

구삼(九三) 정설불식(井渫不食) 위아심측(爲我心惻) 가용급(可用汲) 왕명병수기복(王明並受其福).

구삼은 우물이 깨끗하되 먹이지 못해 내 마음을 슬프게 한다.길어서 쓸 수 있으니, 왕이 밝으면 같이 복을 받을 것이다.

상왈(象曰) 정설불식(井渫不食) 행측야(行惻也) 구왕명(求王明) 수복야(受福也).

상에 말하기를 '우물이 깨끗하되 먹이지 못함'은 행하지 못함을 슬퍼함이고, 왕의 밝음을 구하는 것은 복을 받음이라.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육사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육사

육사(六四) 정추(井甃) 무구(无咎).

육사는 우물을 치면 허물이 없으리라.

상왈(象曰) 정추무구(井甃无咎) 수정야(脩井也).

상에 말하기를'우물을 치면 허물이 없음'은 우물을 수리하기 때문이다.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구오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구오

구오(九五) 정열한천식(井洌 寒泉食).

구오는 우물이 맑아서 찬 샘물을 먹는 도다.

상왈(象曰) 한천지식(寒泉之食) 중정야(中正也).

상에 말하기를 ' 찬 샘물을 먹는다'함은 중정하기 때문이다.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상육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상육

상구(上六) 정수물막(井收 勿幕) 유부원길(有孚 元吉).

상육은 우물을 길어 취하고 덮지 않으며 믿음이 있는 지라, 크게 착하고 길하니라.

상왈(象曰) 원길재상(元吉在上) 대성야(大成也).

상에 말하기를 크게 착하고 길한 것으로 위에 있음이 크게 성공함이다.

주역 원문 및 해석 : 손에 잡히는 주역 인해

주역을 공부하는 것의 가장 좋은 것은 직접 괘를 뽑아서 그것이 이르는 바와 인생의 질문이 변하는 바를 관찰하는 것이니 원문 공부와 병행해서 항상 점을 쳐서 직접 공부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실증주역의 황태연 교수님과 도올선생님등의 많은 주역 학자님들의 주장이십니다. 하단에 주역점치는 법에 관한 설명글을 링크해 드리니 참고하셔서 직접 인생의 질문에 답을 주역을 통해 얻을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https://6dragon.tistory.com/232

 

동전 주역점 점 치는 법

주역을 공부하는 것에 가장 좋은 것은 역시 주역점을 직접 쳐서 자신의 질문과 그 변화를 살피는 것이 가장 좋다고 믿고 있습니다. 하지만 점을 쳐보고 싶은 순간 내 주변에 서죽이 있을 리 만무

6dragon.tistory.com

https://6dragon.tistory.com/42

 

서죽 (筮竹)만들기 와 주역점(周易占)치는 법

시초와 서죽(筮竹) 본격적으로 주역을 공부 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점칠 도구가 필요하다. 본래 주역은 시초를 이용하여 점을 쳤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현대에서는 시초라는 풀은 구할 수가 없

6dragon.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