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49번째 택화혁 괘 (澤火革)의 개요
주역의 49번째 택화혁괘는 "혁"(革)으로 "혁명" 또는 "털갈이"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택화혁 괘는 불을 나타내는 리화(火)와 호수를 나타내는 태택(澤)의 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택화혁 괘는 뱀이 허물을 벗거나 새가 깃털을 탈피하는 것처럼 급격한 변화 또는 혁명이라는 개념을 나타냅니다. 앞으로 나아가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 오래된 습관, 신념, 패턴을 기꺼이 버려야 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개인 성장에서 택화혁괘는 변화와 변형을 성장 과정의 자연스럽고 필수적인 부분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 낡은 정체성과 존재 방식을 기꺼이 버리고 성장과 진화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관점과 경험을 받아들일 것을 제안합니다.
또한 택화혁 괘는 성장과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두려움에 직면하고 안전지대를 벗어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택화혁 괘는 불편하거나 무섭더라도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고 도전할 것을 제안합니다.
연애관계에서 택화혁 괘는 관계 내에서 변화와 성장에 대해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더 이상 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 오래된 패턴과 습관을 기꺼이 버리고 관계를 심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관계 방식을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택화혁 괘는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 특히 우리의 필요와 욕구에 관해 정직하고 투명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또한 관계 내에서 성장과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기꺼이 어려운 대화를 나누고 어려움을 헤쳐나가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일과 경력에서 택화혁 괘는 직장 내 변화와 혁신에 대해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더 이상 조직에 도움이 되지 않는 오래된 업무 방식을 기꺼이 버리고 성장과 성공을 이끄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접근 방식을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택화혁 괘는 직장 내 성장과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고 불확실성을 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또한 창의성과 실험 문화를 조성하고 성공을 위해 실패로부터 기꺼이 배우는 자세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전반적으로 주역의 49번째 택화혁 괘는 변화와 혁신을 성장 과정의 자연스럽고 필수적인 부분으로 수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나타냅니다. 더 이상 도움이 되지 않는 낡은 패턴과 습관을 버리고 성장과 진화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관점과 경험을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개인의 성장, 관계, 업무에서 택화혁 괘는 성장과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고 도전할 것을 제안합니다.
주역 49번째 택화혁 괘 (澤火革)의 원문
혁(革) 이일내부(己日乃孚) 원형(元亨) 이정(利貞) 회망(悔亡).
혁은 날이 마쳐야 이에 믿으리니, 크게 형통하고 바르게 함이 이로워서 뉘우침이 없어지느니라.
단왈(彖曰) 혁(革) 수화 상식(水火相息) 이녀동거(二女同居) 기지불상득(其志不相得) 왈혁(曰革) 이일내부(己日乃孚) 혁이신지(革而信之) 문명이열(文明以說) 대형이정(大亨以正) 혁이당(革而當) 기회내망(其悔乃亡) 천지혁이사시성(天地革而四時成) 탕무혁명(湯武革命) 순호천이응호인(順乎天而應乎人) 혁지시대의야(革之時大矣哉)!
단에 말하기를 혁은 물과 불이 서로 멸하며 그치게 하며, 두 여자가 함께 거처하되 그 뜻을 서로 얻지 못함을 일러 혁이라 한다. '날이 마쳐야 믿음'은 고쳐서 믿게 하는 것이다.문명하고 기뻐해서 크게 형통하고 바르니, 고쳐서 마땅함에 그 뉘우침이 곧 없어지느니라. 천지가 고침에 사시가 이루어지며, 탕왕과 무왕이 혁명해서 순하고 백성에게 응하니, 혁의 때가 크도다!
상왈(象曰) 택중유화(澤中有火) 혁(革) 군자이치력명시(君子以治歷明時).
상에 말하길 못 속에 불이 있는 것이 혁괘니, 군자가 본받아서 역(책력)을 다스려서 때를 밝히느니라.
초구(初九) 공용황우지혁(鞏用黃牛之革).
초구는 묶되 누런 소의 가죽을 쓰니라. 상에 말하길 '묶되 누런 소를 씀'은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왈(象曰) 공용황우(鞏用黃牛) 불가이유위야(不可以有爲也).
상에 말하길 '묶되 누런소를 씀'은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육이(六二) 이일내혁지(己日乃革之) 정길(征吉) 무구(无咎).
육이는 날이 마쳐야 고치리니, 나아가면 길해서 허물이 없으리라.
상왈(象曰) 이일혁지(己日革之) 행유가야(行有佳也).
상에 말하길 '날이 마쳐야 고침'은 행함에 아름다움이 있음이라.
구삼(九三) 정흉(征凶) 정려(貞厲) 혁언삼취(革言三就) 유부(有孚).
구삼은 나아가면 흉하니, 곧고 바르게 하며 위태롭게 여겨야 할 것이니, 고친다는 말이 세 번 이루어지면 미더움이 있으리라.
상왈(象曰) 혁언삼취(革言三就) 우하지의(又何之矣)!
상에 말하기를 '고친다는 말이 세 번 이루어짐'이니 또 어디를 가리오?
구사(九四) 회망(悔亡) 유부개명(有孚改命) 길(吉).
구사는 뉘우침이 없어지니, 미더움이 있으면 개혁해서 길하리라.
상왈(象曰) 개명지길(改命之吉) 신지야(信志也).
상에 말하길 '개혁해서 길함'은 뜻을 믿기 때문이다.
구오(九五) 대인호변(大人虎變) 미점유부(未占有孚).
구오는 대인이 호랑이 문채와 같이 변하는 것이니, 점치지 아니해도 미더움이 있느니라.
상왈(象曰) 대인호변(大人虎變) 기문병야(其文炳也).
상에 말하길 '대인이 호랑이로 변함'은 그 무늬가 빛남이라.
상육(上六) 군자혁변(君子豹變) 소인혁면(小人革面) 정흉(征凶)거정길(居貞吉).
상육은 군자는 표범의 문채와 같이 변함이고, 소인은 낯만 고치니, 가면 흉하고 바른데 거처하면 길하리라.
상왈(象曰) 군자혁변(君子豹變) 기문위야(其文蔚也) 소인 혁면(小人革面) 순이종군야(順以從君也).
상에 말하길 '군자가 표범으로 변함'은 그 무늬가 성함이고,'소인이 얼굴만 고침'은 순하게 임금을 쫓음이라.
주역 원문 및 해석 : 손에 잡히는 주역 인해
주역을 공부하는 것의 가장 좋은 것은 직접 괘를 뽑아서 그것이 이르는 바와 인생의 질문이 변하는 바를 관찰하는 것이니 원문 공부와 병행해서 항상 점을 쳐서 직접 공부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실증주역의 황태연 교수님과 도올선생님등의 많은 주역 학자님들의 주장이십니다. 하단에 주역점치는 법에 관한 설명글을 링크해 드리니 참고하셔서 직접 인생의 질문에 답을 주역을 통해 얻을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https://6dragon.tistory.com/232
동전 주역점 점 치는 법
주역을 공부하는 것에 가장 좋은 것은 역시 주역점을 직접 쳐서 자신의 질문과 그 변화를 살피는 것이 가장 좋다고 믿고 있습니다. 하지만 점을 쳐보고 싶은 순간 내 주변에 서죽이 있을 리 만무
6dragon.tistory.com
https://6dragon.tistory.com/42
서죽 (筮竹)만들기 와 주역점(周易占)치는 법
시초와 서죽(筮竹) 본격적으로 주역을 공부 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점칠 도구가 필요하다. 본래 주역은 시초를 이용하여 점을 쳤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현대에서는 시초라는 풀은 구할 수가 없
6dragon.tistory.com
'주역(周易)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51번째 중뢰진 괘 - 주역공부 (6) | 2023.05.22 |
---|---|
주역 50번째 화풍정 괘 (火風鼎) - 주역 공부 (3) | 2023.05.11 |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괘 - 주역 공부 (3) | 2023.04.10 |
주역 택수곤 괘 - 주역 공부 (4) | 2023.04.02 |
주역 지풍승 괘 - 주역 공부 (9)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