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 50번째 괘 화풍정 괘의 개요
주역의 50번째 괘 화풍정 괘는 "가마솥" 또는 "삼각대"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 화풍정 괘는 불을 나타내는 리화(離)와 물을 나타내는 감수(坎)의 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화풍정 괘는 가마솥이나 삼각대로 상징되는 신성한 용기 또는 그릇의 개념을 나타냅니다. 이는 순수하고 신성한 공간을 만들 때 신의 에너지를 끌어들여 영적인 변화와 성장을 경험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개인적 성장에서 화풍정 괘는 성장과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우리 안에 신성한 공간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헥사그램은 신의 인도와 영감을 받기 위해 내면의 고요함, 순수함, 명료함을 길러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또한 화풍정 괘는 영적 공동체와 연결하고 공동의 목적과 헌신 의식을 함양하는 것의 중요성을 제시합니다. 화풍정 괘는 우리가 신과 서로 연결되는 데 도움이 되는 영적 수행과 의식에 참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인간관계에서 화풍정 괘는 관계 내에서 공유된 목적의식과 헌신의식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관계 내에서 신성한 감각을 키우고 순수하고 신성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화풍정 괘는 관계의 성장과 변화를 지원할 수 있는 영적 공동체 또는 전통과의 연결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화풍정 괘는 관계를 돈독히 하고 공동의 목적과 헌신 의식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의식과 관행에 참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일과 경력에서 화풍정 괘는 직장 내에서 공동의 목적과 헌신의식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화풍정 괘는 동료들과 협력하여 순수하고 신성한 공간을 만들고, 비전과 사명을 공유하는 감각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화풍정 괘는 개인의 관심사와 목표를 초월하는 더 큰 목적 또는 사명과 연결되는 것의 중요성을 제시합니다. 더 큰 소명을 위해 봉사하는 일과 공동의 목적과 헌신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되는 관행과 의식에 참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전반적으로 주역의 50번째 화풍정 괘는 성장과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신성한 공간 또는 용기를 만드는 것의 중요성을 나타냅니다. 내면의 고요함, 순수함, 명료함을 기르고 우리의 성장과 변화를 지원할 수 있는 영적 공동체 또는 전통과 연결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개인의 성장, 관계, 업무에서 화풍정 괘는 순수하고 성스러운 공간을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하며, 개인의 이익과 목표를 초월하는 더 큰 목적 또는 사명과 연결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주역 50번째 괘 화풍정 괘의 원문
정(鼎) 원길(元吉) 형(亨).
정은 크게 착하고 형통하니라
단왈(彖曰) 정(鼎) 상야(象也). 이목손화(以木巽火) 팽임야(亨飪也) 성이팽이향상제 (聖人亨以享上帝) 이대팽이양성현(而大亨以養聖賢). 손이이목총명(巽而耳目聰明) 유진이상행(柔進而上行),득중이응호강(得中而應乎剛)시이원형(是以元亨).
단에 말하길 정괘는 형상으로 취한 것이니, 나무로써 불을 들여서 음식을 삶으니, 성인이 삶아서 상제께 제사 올리고, 크게 삶아서 성현을 기르느니라. 겸손하고 귀와 눈이 총명하며, 유가 나아가 위로 가고 중을 얻어 강에 응함이라. 이 때문에 크게 착하고 형통하니라.
상왈 (象曰, 목상유화 (木上有火), 정(鼎), 군자이정위응명(君子以正位凝命).
상에 말하길 나무 위에 불이 있음이 정괘니, 군자가 본받아서 위를 바로 해서 명을 후중하게 하느니라.
초육(初六) 정전지(鼎顚趾)이출비(利出否), 득첩이기자(得妾以其子), 무구(无咎).
초육은 솥의 발이 엎어지나 비색한 것을 내놓게 되어 이로우니, 첩을 얻으면 그 주인이 허물이 없어지리라.
상왈(象曰) 정전지(鼎顚趾) 미패야(未悖也), 이출비(利出否), 이종귀야(以從貴也).
상에 말하길 '솥의 발이 엎어짐'이나 거스르지 않는 것이고, '비색 한 것을 내놓게 되어 이로움'은 귀한 것을 따르는 것이다.
구이(九二), 정유실(鼎有實),아구유질(我仇有疾),불아능즉(不我能卽), 길(吉).
구이는 솥에 내용물이 있으나, 내 짝이 병이 있으니, 내게 다가오지 못하게 하면 길하니라.
상왈(象曰) 정유실(鼎有實), 신소지야(愼所之也) 아구유질(我仇有疾) 종무구야(終无尤也).
상에 말하길 '솥에 내용물이 있음'이나 가는 바를 삼가니, '내 짝이 병이 있음'은 마침내 허물이 없어지리라.
구삼(九三) 정이혁(鼎耳革) 기행색(其行塞), 치고불식(雉膏不食), 방우휴회(方雨虧悔),종길(終吉).
구삼은 솥귀가 변혁돼서 그 가는 길이 막혀서 꿩의 기름을 먹지 못하나, 바야흐로 비가 내려서 부족하게 되었던 뉘우침이 마침내 길하게 되리라.
상왈(象曰) 정이혁(鼎耳革), 실기의야(失其義也).
상에 말하길 '솥귀가 변혁됨'은 그 의리를 잃었기 때문이다.
구사(九四), 정절족(鼎折足) 복공속(覆公餗), 기형 악(其形渥), 흉(凶).
구사는 솥이 다리가 부러져서 공의 밥을 엎으니, 그 얼굴이 땀으로 젖음이라 흉토다.
상왈(象曰) 복공속(覆公餗), 신여하야(信如何也)!
상에 말하길 '공의 밥을 엎음'이니, 신용이 어떠하겠는가?
육오(六五), 정황이금현(鼎黃耳金鉉), 이정(利貞).
육오는 솥이 누런 귀에 금 고리니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상왈(象曰), 정황이(鼎黃耳) 중이위실야(中以爲實也).
상에 말하길 '솥이 누런 귀'는 가운데 해서 실질이 있음이라.
상구(上九), 정옥혁(鼎玉鉉), 대길(大吉), 무불리(无不利).
상구는 솥이 옥 솥고리이니, 크게 길해서 이롭지 아니함이 없느니라.
상왈(象曰),옥현재상(玉鉉在上), 강유절야(剛柔節也).
상에 말하길 '옥 솥고리가 위에 있음'은 강유가 잘 조절되기 때문이다.
주역 원문 및 해석 : 손에 잡히는 주역 인해
주역을 공부하는 것의 가장 좋은 것은 직접 괘를 뽑아서 그것이 이르는 바와 인생의 질문이 변하는 바를 관찰하는 것이니 원문 공부와 병행해서 항상 점을 쳐서 직접 공부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실증주역의 황태연 교수님과 도올선생님등의 많은 주역 학자님들의 주장이십니다. 하단에 주역점치는 법에 관한 설명글을 링크해 드리니 참고하셔서 직접 인생의 질문에 답을 주역을 통해 얻을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https://6dragon.tistory.com/232
동전 주역점 점 치는 법
주역을 공부하는 것에 가장 좋은 것은 역시 주역점을 직접 쳐서 자신의 질문과 그 변화를 살피는 것이 가장 좋다고 믿고 있습니다. 하지만 점을 쳐보고 싶은 순간 내 주변에 서죽이 있을 리 만무
6dragon.tistory.com
https://6dragon.tistory.com/42
서죽 (筮竹)만들기 와 주역점(周易占)치는 법
시초와 서죽(筮竹) 본격적으로 주역을 공부 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점칠 도구가 필요하다. 본래 주역은 시초를 이용하여 점을 쳤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현대에서는 시초라는 풀은 구할 수가 없
6dragon.tistory.com
'주역(周易)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 52번째 중산간괘 (重山艮) (2) | 2023.06.11 |
---|---|
주역 51번째 중뢰진 괘 - 주역공부 (6) | 2023.05.22 |
주역 49번째 택화혁괘 (澤火革) -주역 공부 (9) | 2023.04.11 |
주역의 48번째 수풍정 괘 - 주역 공부 (3) | 2023.04.10 |
주역 택수곤 괘 - 주역 공부 (4) | 2023.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