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역 강의 39

주역 63번째 수화기제(水火旣濟) 괘의 개요 - 주역공부

주역 63번째 괘는 "완료 후" 또는 "이미 건너간"으로 번역되는 수화기제(水火旣濟)입니다. 이 수화기제(水火旣濟) 괘는 성공적인 정점의 시기를 상징하지만, 정점이나 완성에 도달한 후에는 새로운 시작을 향한 자연스러운 진행이 있으며, 종종 고유한 도전 과제가 있음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상징과 철학적 맥락: 수화기제(水火旣濟) 는 불을 상징하는 리화(離火) 괘 위에 있는 감수(坎水) 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불 위에 흐르는 물 즉 끓는 물을 연상시키는 이미지입니다. 이는 서로 반대되는 힘이 순간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균형 상태를 나타냅니다. 도교와 유교 사상의 넓은 맥락에서 볼 때, 이 수화기제(水火旣濟)는 상황의 순환적 특성을 강조합니다. 즉, 완수 또는 성공 후에는 다음 단계의 도전이나 변화..

주역 62번째 뇌산소과(雷山小過) 괘의 원문

소과(小過),형(亨), 리정(利貞), 가소사(可小事), 불가대사(不可大事),비조유지음( 飛鳥遺之音), 불의상(不宜上),의하(宜下), 대길(大吉). 소과는 형통하니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 작은 일은 할 수 있고 큰 일은 할 수 없으니, 나는 새가 소리를 남김에 위로 가는 것은 마땅치 않고, 아래로 가게 하면 크게 길하리라. 단왈(彖曰), 소과(小過), 소자과이형야(小者過而亨也), 과이리정(過以利貞), 여시행야(與時行也). 유득중(柔得中), 시이소사길야(是以小事吉也), 강실위이부중(剛失位而不中), 시이불가대사야(是以不可大事也). 유비조지상언(有飛鳥之象焉), 비조유지음(飛鳥遺之音), 불의상(不宜上), 의하(宜下), 대길(大吉), 상역이하순야(上逆而下順也). 단에 말하길'소과'는 작은 것이 지나쳐서 형통함이니,..

주역 62번째 뇌산소과(雷山小過) 괘의 개요 - 주역공부

주역 62번째 뇌산소과(雷山小過) 괘는 일반적으로 "작은 것의 우세" 또는 "작은 초과"로 해석됩니다. 이 뇌산소과(雷山小過) 괘는 세부 사항에 대한 주의, 작은 행동의 중요성, 사소한 일이라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생각을 강조합니다. 상징주의와 철학적 맥락: 뇌산소과(雷山小過) 괘는 간산(艮山)의 위에 뇌진(雷震) 괘가 그려져 있으며, 산 속에서 울려 퍼지는 천둥을 상징합니다. 이 이미지는 작고 울려 퍼지는 행동이 중요성을 얻는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도교와 유교라는 광범위한 철학적 배경에서 이 뇌산소과(雷山小過) 괘는 겸손의 가치, 작은 일에 대한 부지런함, 사소한 노력이 중요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이해를 강조합니다. 해석과 의미: 뇌산소과(雷山小過) 괘가 등장할 때는 사소한 세부..

주역 61번째 풍택중부(風澤中孚) 괘의 원문

중부(中孚),돈어길(豚魚吉), 이섭대천(利涉大川, 利貞. 중부는 돼지와 물고기까지 믿게 하면 길하니, 큰 내를 건넘이 이롭고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단왈(彖曰),중부(中孚), 유재이내강득중(柔在內而剛得中),열이손(說而巽), 부내화방야(孚乃化邦也). 돈어길(豚魚吉), 신급돈어야(信及豚魚也), 이섭대천(利涉大川), 승목주허야(乘木舟虛也), 중부이리정(中孚以利貞), 내응호천야(乃應乎天也). 단에 말하기를 중부는 유가 안에 있고, 강이 중을 얻기 때문이니, 기뻐하고 겸손하기 때문에 믿음이 나라를 교화하니라.'돼지와 물고기까지 하면 길하다'함음 믿음이 돼지와 물고기에 까지 미침이고, '큰 내를 건넘이 이로움'은 나무를 타고 배가 비었기 때문이며, 중심이 미덥고 바르게 해서 이로우면, 곧 하늘에 응하리라. 상왈(..

주역 60번째 수택절(水澤節) 괘의 원문

절(節), 형(亨), 고절불가정(苦節不可 貞). 절은 형통하니 쓴 절게는 바르지 못하니라. 단왈(彖曰),절(節), 형(亨), 강유분이강득중(剛柔分而剛得中). 고절 불가(苦節不可), 정(貞), 기도궁야(其道窮也). 열이행험(說以行險), 당위이절(當位以節),중정이통(中正以通). 천지절이사시성(天地節而四時成), 절이제도(節以制度), 불상재불해민(不傷財不害民). 단에 말하기를 '절이 형통함'은 강과 유가 나뉘고 강이 중을 얻기 때문이며, '쓴 절제는 바르지 못하다'함은 그 도가 궁함이라. 기뻐하면서 험한데를 행하고, 지위를 맡아서 절제하며, 중정해서 통하니라. 천지가 절제함에 사시가 이루어지니, 절제함으로써 제도를 만들어서 재물을 상하지 않으며 백성을 해하지 않는다. 상왈(象曰), 택상유수(澤上有水), 절(節)..

주역 60번째 수택절(水澤節) 괘의 개요 - 주역공부

주역 60번째 수택절(水澤節)은 "제한" 또는 "관절"로 번역되어집니다. 이 수택절(水澤節) 괘는 삶의 조화와 질서를 이루기 위해 경계를 설정하고, 제약을 이해하고, 규율을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상징주의와 철학적 맥락: 수택절(水澤節) 괘는 호수를 상징하는 태택(兌澤) 위에 물을 상징하는 감수(坎水)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봉쇄 또는 한계 설정을 암시합니다. 철학적으로 도교와 유교적 맥락에서 이 괘는 균형, 질서, 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한계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해석과 의미: 수택절(水澤節) 괘가 등장하면 규율, 구조, 자신의 경계를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한계를 인식하고 그 안에서 일함으로써 더 큰 조화와 성공을 이룰 ..

주역 59번째 풍수환(風水渙) 괘의 개요 - 주역공부

주역 59번째 풍수환(風水渙)은 "분산" 또는 "해산"으로 번역됩니다. 이 풍수환(風水渙)은 분열을 해소하고 단합과 명료성을 증진하여 긴장을 해소하고 장애물을 극복해야 할 필요성을 상징합니다. 상징주의와 철학적 맥락: 주역 59번째 풍수환(風水渙)은 감수(坎水) 위에 손풍(巽風) 괘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 위로 움직이는 바람을 상징하여 분산과 에너지 또는 영향력의 확산을 의미합니다. 도교와 유교의 더 넓은 철학적 맥락에서 이 풍수환(風水渙)은 갈등을 해결하고 장벽을 허물며 상호 이해와 화합을 촉진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해석과 의미: 풍수환(風水渙)이 나타나면 일반적으로 화해의 메시지와 이별과 불화를 극복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장애물과 오해를 없애고 명확성과 단합을 이루도록 장려합니다...

주역 58번째 중택태(重澤兌) 의 원문 - 주역 공부

태(兌), 형(亨), 리정(利貞). 태는 형통하니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단왈(彖曰), 태(兌), 열야(說也). 강중이유외(剛中而柔外), 열이리정(說以利貞). 시이순호천이응호인(是以順乎天而應乎人). 열이선민(說以先民), 민망기로(民忘其勞), 열이범란(說以犯難), 민망기사(民忘其死), 열지대(說之大), 민권의재(民勸矣哉)! 단에 말하기를 태는 기뻐함이니, 강이 중에 있고 유가 밖에 있어서, 기뻐하면서 바르게 함이 이롭다. 이 때문에 하늘에 순하고 사람에 응해서, 기쁨으로써 백성에게 먼저하면 백성이 그 수고로움을 잊고, 기쁨으로써 어려움을 범하면 백성이 그 죽음을 잊나니, 기뻐함의 큼은 백성이 서로 권하여 따르게 되느니라. 상왈(象曰), 이택(麗澤), 태(兌), 군자이 명우강습(君子以朋友講習). 상에 말하..

주역 57번째 중풍손(重風巽) 의 원문

풍(巽), 소형(小亨), 이유유왕(利有攸往), 이견대인(利見大人). 손은 조금 형통하니, 가는 바를 둠이 이로우며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단왈(彖曰),중손이신명(重巽以申命). 강손호중정이지행(剛巽乎中正而志行), 유개순호강(柔皆順乎剛), 시이(是以) 소형(小亨), 이유유왕(利有攸往), 이견대인(利見大人). 단에 말하기를 거듭 공손함으로써 명령을 거듭 펴나니, 강은 중정한 도를 순히 따라서 뜻이 행하며, 유는 강에게 다 순하게 한다. 이렇기 때문에 조금 형통하니, 가는 것이 이로우며 대인을 봄이 이로우니라. 상왈(象曰),수풍(隨風), 손(巽), 군자이신명행사(君子以申命行事). 상에 말하기를 따르는 바람이 손괘니, 군자가 본받아서 명을 거듭 펴서 일을 행하느니라. 초육(初六), 진퇴(進退),이무인지정(利武人..

주역 57번째 중풍손(重風巽) 괘 - 주역공부

주역의 57번째 괘는 중풍손(重風巽)으로, 종종 '부드러움' 또는 “들어감”이라고 해석됩니다. 이것은 부드러운 영향력과 설득의 힘을 대표하며, 미묘함, 지속성, 그리고 유연성에 중점을 둡니다. 이것은 바람을 상징하며, 이것이 모든 것에 들어가고 모든 것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일관되고 부드러운 영향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얼마나 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상징과 철학적 맥락: 주역 57번째 중풍손(重風巽)은 손풍(巽風), 즉 바람을 나타내는 두 개의 동일한 괘로 구성되어 있어, 부드러움과 침투력의 배가 효과를 나타냅니다. 주역이 포괄하는 보다 광범위한 도교와 유교의 철학에서 이 중풍손(重風巽)은 변화를 이루고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부드러운 영향력과 도덕적 무결성의 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