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역 64괘중 12번째 괘인 천지비 (天地否)를 정리 해 보겠습니다.
비지비인(否之匪人) 불리 군자정(不利 君子貞) 대왕소래 (大往小來)
비는 사람의 도가 아니니, 군자의 바름이 이롭지 않으니, 큰것이 가고 작은 것이 오느니라.
단왈(彖曰) 비지비인 불리군자정 대왕소래(否之匪人不利 君子貞大往小來.) 즉시천지불교이만물 (則是天地不交而萬物)
불통야(不通也)상하불교이천하 무방야(上下不交而天下无邦也)내음이외양( 內陰而外陽)내유이외강(內柔而外剛)내소인이외군자(內小人而外君子)소인도장(小人道長) 군자도소야(君子道消也)span>
단에 말하기를 괘사의 '비지비인 불리군자정 대왕소래'는 곧 하늘과 땅이 사귀지 않아 만물이 통하지 않으며, 위와 아래가 사귀지 않아 천하에 나라가 없는 것이다. 안은 음이고 밖은 양이 있으며, 안에 유가 있고 밖에 강이 있으며, 안에는 소인이 있고 바깥에는 군자가 있으니, 소인의 도가 자라나고 군자의 도는 사라지는 것이다.
상왈(象曰) 천지불교(天地不交) 비 (否) 군자(君子) 이(以) 검덕피난(儉德辟難)불가영이록(不可榮以祿)
상에 말하기를 하늘과 따이 사귀지 않는 것이 비괘니, 군자가 본받아서 덕을 검소하게 하고 어려운 것을 피해서, 녹(벼슬)으로써 영화롭게 하지 말 것이니라.
초육(初六)발모여(拔茅茹) 이기휘(以其彙) 정길형(貞吉亨)
초육은 띠뿌리를 뽄는 것과 같다. 그 무리호써 바르게 함이니 길해서 형통하니라.
상왈(象曰)발모정길(拔茅貞吉)지재군야(志在君)
상에 말하기를 '발모정길'은 뜻이 임금에게 있음이라.
육이(六二) 포승(包承) 소인 길( 小人吉)대인 비( 大人否) 형(亨)
육이는 감싸고 받드는 것이니, 소인은 길하고 대인은 비색하게 함이니 도에는 형통하니라.
상왈(象曰)대인비형(大人否 亨)불란군야(不亂羣也)
상에 말하기를 대인은 비색하게 해서 형통함은 무리속에 어지럽게 섞이지 않는 것이다.
육삼(六三) 포수(包羞)
육삼은 간싼 것이 부끄럽도다.
상왈(象曰)포수(包羞) 위부당야( 位不當也)
상에 말하기를 '감싼것이 부끄러움'은 지위가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구사(九四) 유명무구(有命无咎) 주리지(疇離祉)
구사는 군명이 있으면 허물이 없어 동료가 복을 받을 것이다.
상왈(象曰) 유명무구(有命无咎)지행야(志行也).
상에 말하기를 '군명이 있으면 허물이 없음'은 뜻이 행하는 것이다.
구오(九五) 휴비(休否)대인길( 大人吉) 기망기망( 其亡其亡) 계우포상(繫于苞桑).
구오는 비색한 것을 그치게 함이라. '대인의 길한 것이니 그 망할 듯 망할 듯 해야 우묵한 뽕나무에 매리라.
상왈(象曰) 대인지길(大人之吉) 위(位) 정당야(正當也).
상에 말하길 '대인의 길함'은 지위가 바르고 마땅하기 때문이다.
상구(上九) 경비(傾否) 선비후희(先否後喜).
상구는 비색한 것이 기울어지니, 먼저는 비색하고 뒤에는 기뻐하도다.
상왈(象曰) 비종즉경(否終則傾) 하가장야(何可長也)!
상에 말하기를 비색한 것이 마치면 기울어지나니, 어찌 오래갈 수 있으리오?
원문 및 해석 출처 : 「손에 잡히는 주역인해」
주역을 공부하는 것의 가장 좋은 것은 직접 괘를 뽑아서 그것이 이르는 바와 인생의 질문이 변하는 바를 관찰하는 것이니 원문 공부와 병행해서 항상 점을 쳐서 직접 공부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실증주역의 황태연 교수님과 도올선생님등의 많은 주역 학자님들의 주장이십니다. 하단에 주역점 치는 법에 관한 설명글을 링크해드리니 참고하셔서 직접 인생의 질문에 답을 주역을 통해 얻을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https://6dragon.tistory.com/57
가장 빠르게 주역 점 치는 법
주역점 치는 법 가장 빠르고 간단하게 주역점을 치는 법은 주사위가 있어야 한다. 그것도 팔괘가 쓰여 있는 팔각형 주역 주사위. 이런 주사위를 구입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기는 하지만 주사
6dragon.tistory.com
https://6dragon.tistory.com/42
서죽 (筮竹)만들기 와 주역점(周易占)치는 법
시초와 서죽(筮竹) 본격적으로 주역을 공부 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점칠 도구가 필요하다. 본래 주역은 시초를 이용하여 점을 쳤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현대에서는 시초라는 풀은 구할 수가 없
6dragon.tistory.com
'주역(周易)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64 괘 14 번째 화천대유(火天大有) (14) | 2023.02.20 |
---|---|
주역(周易) 64 괘 13 번째 천화동인(天火同人) (15) | 2023.02.19 |
주역(周易) 64 괘 11 번째 지천태 (地天泰) (19) | 2023.02.18 |
주역(周易) 64 괘 5번째 수천수(水天需) (23) | 2023.02.16 |
주역(周易) 64 괘 10 번째 천택리 (天澤履) (21) | 2023.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