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주역 64 괘(卦) 중 8번째괘(卦)인 수지비(水地比)의 원문을 정리 해 보겠습니다.
비(比) 길(吉) 원서(原筮) 원영정(元永貞) 무구(无咎)
불녕(不寧) 방래(方來) 후(後)부(夫)흉(凶)
비는 길하니 살펴서 결정하되, 원하고 영하고 정하면 허물이 없으리라. 편안치 못하여야 바야흐로 오는 것이니 뒤에 오면 대장부라도 흉하리라.
단왈(彖曰) 비(比)길야(吉也)비(比)보야(輔也)하 순종야(下順從也)
원서원영정무구(原筮元永貞无咎) 이강중야(以剛中也)
불녕방래(不寧方來) 상하(上下)응야(應也) 후부흉(後夫凶) 기도(其道)궁야(窮也)
단에 말하기를 비는 길한 것이며, 비는 돕는 것이니 아랫사람이 순히 따르는 것이다. '살펴서 결정하되 원하고 영하고 정하면 허물이 없음'은 강으로써 중도로 했기 때문이고, '편치 못하여야 오는 것'은 위와 아래가 응하는 것이며, '뒤에 오면 대장부라도 흉함'은 그 도가 궁한 것이다.
상왈(象曰) 지상유수(地上有水) 비(比) 선왕(先王) 이(以)건만국(建萬國) 친제후(親諸侯)
상에 말하기를 땅 위에 물이 있음이 비괘니, 선왕이 본받아서 만국을 세우고 제후를 친하게 하니라.
초육(初六) 유부비지(有孚比之) 무구(无咎) 유부 영부(有孚盈缶)종(終)래유타길(來有他吉)
초육은 믿음있게 도와야 허물이 없으리니, 믿음이 순박해서 질그릇에 가득차면, 끝에 가서 다른 길함을 오게 하리라.
상왈(象曰) 비지초육(比之初六) 유타길야(有他吉也)
상에 말하기를 비괘의 초육은 다른 길함이 있느니라.
육이(六二) 비지자내(比之自內)정(貞) 길(吉)
육이는 안으로 부터 도움이니 바르게 해서 길하도다.
상왈(象曰) 비지자내(比之自內) 부자실야(不自失也)
상에 말하기를 '안으로부터 도움'은 스스로 자신의 돕는 도를 잃지 않는 것이다.
육삼(六三) 비지비인(比之匪人)
육삼은 도울 사람이 아닌데 도움이라.
상왈(象曰) 비지비인(比之匪人) 불역상호(不亦傷乎)
상에 말하길 '도울 사람이 아닌데 도움'은 또한 상하지 않겠는가!
육사(六四) 외비지(外比之) 정(貞) 길(吉)
육사는 밖으로 도우니 바르게 해서 길하도다.
상왈(象曰) 외비어현(外比於賢) 이종상야(以從上也)
상에 말하기를 바깥으로 어진 이를 도움은 위를 따름이다.
구오(九五) 현비(顯比) 왕용삼구(王用三驅) 실전금(失前禽) 읍인불계(邑人不誡) 길(吉)
구오는 나타나게 돕는 것이니, 왕이 세 군데로 모는 법을 씀에 앞의 새를 잃으며, 읍사람이 경계하지 않으니 길하도다.
상왈(象曰) 현비지길(顯比之吉) 위정중야(位正中也) 사역취순(舍逆取順) 실전금야(失前禽也)
읍인불계(邑人不誡) 상사중야(上使中也)
상에 말하기를 '나타나게 도와서 길함'은 위(位)가 정히 가우데 함이요, 거스리는 것을 버리고 순히하는 것을 취함이 '앞의 새를 잃음'이요, '읍사람이 경계하지 않음'은 윗사람의 부림이 중도로 하기 때문이다.
상육(上六) 비지무수(比之无首) 흉(凶)
상육은 돕는 데 처음으로 나섬이 없으니 흉하니라.
상왈(象曰) 비지무수(比之无首) 무소종야(无所終也)
상에 말하기를 '돕는데 앞장서지 못함'은 좋은 끝이 없느니라.
원문 출처 : 손에 잡히는 주역인해
주역을 공부하는 것의 가장 좋은 것은 직접 괘를 뽑아서 그것이 이르는 바와 인생의 질문이 변하는 바를 관찰하는 것이니 원문 공부와 병행해서 항상 점을 쳐서 직접 공부 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 실증주역의 황태연 교수님과 도올선생님등의 많은 주역 학자님들의 주장이십니다. 하단에 주역점 치는 법에 관한 설명글을 링크해드리니 참고하셔서 직접 인생의 질문에 답을 주역을 통해 얻을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https://6dragon.tistory.com/57
가장 빠르게 주역 점 치는 법
주역점 치는 법 가장 빠르고 간단하게 주역점을 치는 법은 주사위가 있어야 한다. 그것도 팔괘가 쓰여 있는 팔각형 주역 주사위. 이런 주사위를 구입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기는 하지만 주사
6dragon.tistory.com
https://6dragon.tistory.com/42
서죽 (筮竹)만들기 와 주역점(周易占)치는 법
시초와 서죽(筮竹) 본격적으로 주역을 공부 하기 위해서는 아무래도 점칠 도구가 필요하다. 본래 주역은 시초를 이용하여 점을 쳤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현대에서는 시초라는 풀은 구할 수가 없
6dragon.tistory.com
'주역(周易)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역(周易) 64 괘 10 번째 천택리 (天澤履) (21) | 2023.02.15 |
---|---|
주역(周易) 64 괘 9 번째 풍천소축(風天小畜) (22) | 2023.02.10 |
주역 64 괘(卦) 중 7번째 괘(卦) 지수사(地水師) (2) | 2023.02.09 |
주역 64 괘(卦) 중 6번째 괘(卦)천수송(天水訟) (4) | 2023.02.08 |
주역(周易) 64 괘(卦) 중 4번째 괘(卦) 산수몽(山水蒙) (14) | 2023.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