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兌), 형(亨), 리정(利貞). 태는 형통하니 바르게 함이 이로우니라. 단왈(彖曰), 태(兌), 열야(說也). 강중이유외(剛中而柔外), 열이리정(說以利貞). 시이순호천이응호인(是以順乎天而應乎人). 열이선민(說以先民), 민망기로(民忘其勞), 열이범란(說以犯難), 민망기사(民忘其死), 열지대(說之大), 민권의재(民勸矣哉)! 단에 말하기를 태는 기뻐함이니, 강이 중에 있고 유가 밖에 있어서, 기뻐하면서 바르게 함이 이롭다. 이 때문에 하늘에 순하고 사람에 응해서, 기쁨으로써 백성에게 먼저하면 백성이 그 수고로움을 잊고, 기쁨으로써 어려움을 범하면 백성이 그 죽음을 잊나니, 기뻐함의 큼은 백성이 서로 권하여 따르게 되느니라. 상왈(象曰), 이택(麗澤), 태(兌), 군자이 명우강습(君子以朋友講習). 상에 말하..